문제 설명
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,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,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1 ≤ left ≤ right ≤ 1,000
입출력 예
left | right | result |
13 | 17 | 43 |
24 | 27 | 52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다음 표는 13부터 1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.
수 | 약수 | 약수의 개수 |
13 | 1, 13 | 2 |
14 | 1, 2, 7, 14 | 4 |
15 | 1, 3, 5, 15 | 4 |
16 | 1, 2, 4, 8, 16 | 5 |
17 | 1, 17 | 2 |
• 따라서, 13 + 14 + 15 - 16 + 17 = 43을 return 해야 합니다.
입출력 예 #2
- 다음 표는 24부터 2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.
수 | 약수 | 약수의 개수 |
24 | 1, 2, 3, 4, 6, 8, 12, 24 | 8 |
25 | 1, 5, 25 | 3 |
26 | 1, 2, 13, 26 | 4 |
27 | 1, 3, 9, 27 | 4 |
• 따라서, 24 - 25 + 26 + 27 = 52를 return 해야 합니다.
과거에 문제를 풀다가 특정 수에 루트를 씌운 값보다 작은 값 중에 1을 제외한 다른 숫자가 없다면 그 수는 소수임을 알게 되었다.
대충 옆에 수리통계 복수 전공 친구에게 물어보니 약수라면 짝을 가지고 있을테고 루트 값은 자기 자신이 짝이니
그 수 이전에 어떠한 수가 있다면 이후에도 그것에 대응하는 수가 있을 것이다. (없다면 이후에도 없다는 뜻!) 를 알려주었고
소수임을 판별하기 위해 루트 씌운 값까지만 봐도 되는 이유를 알게 되었다.
이것을 응용해서 루트 값이 정수인지에따라 약수의 갯수가 짝수개인지 홀수개인지 알 수 있다.
뭔가 참 수학과는 아닌데 수학을 잘하면 유리한 학과임은 틀림없다..
나는 직접 약수를 찾아서 세어주었는데 수학적으로 푸니 금방풀린다.
내 풀이(약수 모두 구하기):
def solution(left, right):
정답 = 0
약수 = [0] * 1001
반복 = max(left, right) + 1
for i in range(1, 반복):
for j in range(i, 반복):
if j % i == 0:
약수[j] += 1
for i in range(left, right+1):
if 약수[i] & 1 == 1:
정답 -= i
else:
정답 += i
return 정답
수학적 풀이:
def solution(left, right):
answer = 0
for i in range(left, right + 1):
if int(i**0.5) == i**0.5:
answer -= i
else:
answer += i
return answer
느낀점: 나도 잘하고 싶다. 수학. 코딩. 다 ...
링크: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77884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'Problem Solving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/C++]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해설 (주석포함) (0) | 2023.05.10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/C++] 단속카메라 풀이 (greedy를 스마트하게) (0) | 2023.05.08 |
[프로그래머스/파이썬] 최소직사각형 해설 및 증명 (2) | 2023.04.28 |
[프로그래머스/파이썬] 2018 KAKAO BLIND RECRUITMENT[1차] 비밀지도 (0) | 2023.04.24 |
[프로그래머스/파이썬] 성격 유형 검사하기 (0) | 2023.04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