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[심리학개론 1일차]

심리학

  • 행동과 정신과정을 다루는 과학
  • 연구하는 대상
    1. 관찰 가능한 행동
    2. 정신 과정

연구의 주요 4가지 관점

  • 생물적, 인지적, 행동적, 사회문화적 관점 (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.)

내적 요인을 강조하는 관점

  • 생물적 관점
    • 생리적 하드웨어에 관심을 가짐
    • 뇌 속 신경화학물질(세르토닌, 도파민 등등)
    •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에 관여하는 뇌와 신경계의 작용에 관한 연구 (생리심리학, 뇌과학)
  • 인지적 관점
    • 정신과정의 작동방식과 행동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초점
      (지각, 기억, 문제해결 및 추리와 같은 정신과정이 작동하는 방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초점)
    • [예시] 우울해지는 이유를 설명하는 방식에 초점
                    - 내부귀인:나의 기질적인면에 귀인
                    - 외부귀인: 타인/환경에 귀인

외적 요인을 강조하는 관점

  • 행동적 관점
    • 고전적 조건형성
        -  두 가지 다른 자극에 대한 동일한 반응
           (ex 파블로프의 개 실험, 어린 알버트 실험, 향수 냄새...)
    • 도구적 조건형성
  • 사회문화적 관점
    • 인간행동 및 정신과정이 타인이나 집단 및 문화적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초점
      [예시] 방관자 효과, 책임 분산효과(그룹프로젝트..)
생물적 인간의 생리 (특히 뇌와 신경계)가 인간행동 및 정신과정을 유발하는 방식과 유전과 진화가 인간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
인지적 지각, 기억, 문제해결과 같은 인간의 정신과정이 작동하는 방식과 이들 과정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
행동적 환경 속에서 벌어지는 일/ 사건이 관찰 가능한 행동을 조건화하는 방식
사회문화적 다른 사람과 문화적 맥락이 인간행동 및 정신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

후견편향

  • 결과를 알고 난 후에,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 던 것처럼 믿는 경향성
  • 나는 줄곧 알고 있었어 현상’이라고도 부름

심리학의 주요 분석 방법

과학적 방법

  • 과학적 방법은 세상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검증하는 과정 (상황조작, 관찰, 검증)
    • 이론 -> 가설 -> 조작적 정의 -> 반복연구

기술연구

  • 관찰연구
    • 자연관찰법 : 자연적으로 관찰자의 개입 없이 그대로 관찰
      (고릴라, 침팬치 연구나 학교,직장,식당에서 사회적인 상황을 관찰)
    • 참여관찰법 : 관찰자가 관찰대상 집단의 구성원이 되어 관찰하는 연구방법
      (병원에 직접 들어가서 조현병 환자를 관찰)
  • 사례연구
    • 연구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오랜 시간 계속되며, 연구자는 그 연구대상에 대한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알아내려 함
      (특정 질병으로 어려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함 ex 헨리 몰레이슨) (일반화의 어려움이 있음)
  • 설문연구
    • 특정 집단 사람들의 행동, 믿음, 태도 등에 관한 정보를 질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수집
    • 설문지의 구조 및 질문 방식 등에 유의 (응답자가 사회가 납득하는 방식으로 대답하기 쉬움)
    • 모집단(질문 대상이 되는 집단을 명확히 해야 한다)
    •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설문 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을 실시 (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해야 연구 결과의 일반화가 가능)
    • 무선표집
      • 모집단 구성원 각자가 표본에 뽑힐 확률이 동일하게 하여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추출하는 표집 방법
      • 표집을 사용한 연구결과를 모집단의 결과로 일반화(generalization) 할 수 있음
  • 상관연구
    • 두 변인을 측정하여 관계가 얼마나 밀접한 지를 검토 -1.0 ~ 1.0
    • 정적 상관 & 부적 상관
        -  두 변인의 값이 같이 변하는 것
    • 제 3변인 문제
        -  두 변인의 상관관계가 제 3변인 때문에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
        (예시 피임도구 사용률 - 가전제품 개수 | 강수량 - 자폐증)
  • 실험연구
    • 실험적 통제
        -  실험연구의 핵심은 연구자가 실험장면을 통제
        -  이러한 통제가 인과관계 cause-and-effect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함
        -  제 3변인의 영향을 통제: 실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인의 영향력을 모든 실험 조건에서 동일하게
    • 실험 설계
        -  독립변인, 종석변인, 통제집단, 실험집단
    • 위약효과 플라시보 : 처치를 받았기 때문에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 덕분에 생기는 향상
    • 기해효과 Nocebo : 처치의 결과에 대한 부정적 예상 때문에 발생하 는 부정적 위약 효과 (위약효과와 반대)
    • 이중맹목법 : 참여자는 물론 실험(진행)자도 어느 집단이 실험집단이고 어느 집단이 위약집단인지 모르게 하는 방법

연구결과 이해 방법

  • 추리통계적분석
    • 추리통계: 우연에 의해 산출될 확률을 기초로 연구결과에 관한 결론을 내리는 연구의 과정(우연이 아님을 증명)
    • 종속변인에서 관찰된 변화가 독립변인의 조작 때문임을 입증
    • 통계학에서의 "유의미하게 높은/낮은"의 의미 pvalue가 0.05보다 낮다는 뜻
  • 기술통계
    • 기술 통계치
      (집중경향치 central tendency , 변산성 측정치 variability)
    • 빈도분포: 특정 변인의 각 값이 관찰된 빈도를 표나 그림으로 정리